18. J.S. Lee, J.H. Kim,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한 관상동맥 CT 이미지에서의 관상동맥 및 상행 대동맥 자동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 12198350, 2025.
17. J.S. Lee, J.H. Kim,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한 관상동맥 CT 이미지에서의 관상동맥 및 상행 대동맥 자동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 10-2695790, 2024.
16. J.S. Lee, J.H. Kim, J.E. Shin, J.H. Han, 딥러닝을 활용한 뇌 MRI 데이터로부터 뇌 영역 분할 시스템 및 그 방법, KR 10-2655827, 2024.
15. J.S. Lee, S.Y. Kim, H.G. Lee 리튬이온전지의 덴드라이트 생성 예측방법, KR 10-2731676, 2024.
14. J.S. Lee, 전당뇨 예측과 탈수 측정을 위한 산소포화도 및 혈류량 기반 비침습적 혈액 점성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 10-2676695, 2024.
13. S.T. Kim, J.S. Lee, 니들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KR 10-2548056, 2023.
13. J.S. Lee, Y.W. Kim, J.H. Kim, 수면 무호흡증 인자를 고려한 심혈관 질환 위험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nalysis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sleep apnea factors), KR 10-2451624, 2022.
12. J.S. Lee, H.J. Cho, Y.J. Choi, H.D. Jeong, S. Ryu, 기계학습을 이용한 수면무호흡증 진단방법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diagnosis method using machine learning), KR 10-2447862, 2022.
11. J.S. Lee, Y.W. Kim, 비접촉식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Contactless vital-sign measuring system), KR 10-2360697, 2022.
10. J.S. Lee, J.Y. Cho, S. Ryu, W. Li, 매설 배관의 누수 예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Leaks in Buried Pipes), KR 10-2373480, 2022.
9. J.S. Lee, Y.W. Kim, H.S. Jeong, S.I. Kang, J.S. Kim, H.J. Cho, Y.J. Choi, H.D. Jeong, S. Ryu, S.C. Ko, 유동관 형상 제어용 자성 세포, 이의 제조방법, 유동관 형상 제어 시스템 및 자성 세포를 이용한 인공지능 유동관 형상 제어계획 수립 시스템 (Magnetic cells for controlling the shape of pipe with fluid flow, a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system for controlling the shape of a pipe with fluid flow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lanning system), KR 10-2227821, 2021.
8. J.S. Lee, Y.W. Kim, 혈관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Vascular Disease), KR 10-2190431, 2020.
7. W.Y. Shim, D.A. Jin, J.S. Lee, H.G. Lee, 스파크된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시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parked graphene oxide she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 10-2188648, 2020.
6. J.S. Lee, Y.W. Kim, J.Y. Moon, 요관 스텐트의 설계 방법 (Design Method of Ureteral Stent), KR 10-2007179, 2019.
5. S.I. Kang, J.S. Lee, T.K. Lee, M.K. Jeong, J.H. Lim, J.H. Seong, 초미세 와류를 발생시켜 자가발전을 통한 열 발생이 가능한 표면 구조체 (Surface structure capable of generating micro-vortex for self-energy generation for surface heating), KR 10-2042975, 2019.
4. J.S. Lee, Y.W. Kim, J.Y Moon, 요관 스텐트의 설계 방법 (Design Method of Ureteral Stent), KR 10-2007179, 2019.
3. J.S. Lee, Y.W. Kim, PPG를 이용한 사지 혈관 진단 및 정확도 상승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of diagonizing blood pressure with a single photoplethysmography), KR 10-1656369, 2016.
2. J.S. Lee, J.S. Na, H.M. Yoon, Y.S. Lee, S.C. Ko, 태풍에너지 소산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Typhoon Energy Dissip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 10-1633641, 2016.
1. S.I. Kang, I.H. Cho, M.G. Jeong, J.S. Lee, L. Shin, M.Y. Kim, C.S. Park, T.G. Kim, 항력 저감 및 미생물 부착 방지용 마이크로-나노 프랙탈 구조 (Metallic fractal topographies for reducing drag and bio-adhesion), KR 10-1682644, 2016.
47.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동적 음압 제어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하는 음압 제어 장치 및 음압 제어 시스템
46. 기체 흐름이 최적화된 개방형 구조의 음압 챔버를 설계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음압 챔버
45. 인공지능을 활용한 반복적인 충방전 사이클의 배터리 이온 거동 예측 시스템
44. 기계학습 힘장을 활용한 리튬 폴리설파이드 생성 모사 방법
43. 딥러닝을 활용한 다상 관상동맥 CT 보간 방법
42. PPG신호 및 생체 정보를 통한 혈당 및 당뇨 예측 방법
41. 환경유동 및 건축물 특성 인자를 고려한 인공지능 기반 빌딩풍 예측방법
40. 혈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39. 인공지능 기반 3D 안면 분석 시스템
38. 인공지능 기반 3D 필러 시술 사후 안면 변화 예측 시스템
37. 딥러닝 기반 초음파 영상 측정 가이드 제공 방법
36. 웨어러블 기기 기반 PPG 및 생체 정보를 통한 수축기 이완기 점성 예측 알고리즘
35. 웨어러블 기기 기반 PPG 및 생체 정보를 통한 환자 혈액의 비뉴턴유체 점성 모델링
34. 빌딩 풍압 예측 시스템 및 방법
33. 리튬황 배터리 내 이온 분포 예측 방법
32. 웨어러블 기기 기반 PPG 및 생체 정보를 통한 혈당 및 당뇨 예측 알고리즘
31. 녹내장의증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녹내장의증 모니터링 방법
30. 환경유동 및 건축물 특성 인자를 고려한 인공지능 기반 빌딩풍 예측
29. 비접촉식 생체신호 기반 녹내장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28. J.S. Lee, S. Ryu, Y.J. Choi, J.H. Kim, CBCT 영상의 노이즈 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CBCT image denoise system and method), KR 10-2023-0070868, 2023.
27. J.S. Lee, S.W. Kwon, 물리 정보를 반영한 시계열 이미지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Time-series image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added physics information), KR 10-2023-0063722, 2023.
26. J.S. Lee, J.H. Kim, 단일 2차원 혈관조영 이미지로부터 3차원 혈관 형상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Reconstructing a Three-dimensional Vascular Shapes from a Single Two-dimensional Angiographic Image), KR 10-2023-0052794, 2023.
25. J.S. Lee, 전당뇨 예측과 탈수 측정을 위한 산소포화도 및 혈류량 기반 비침습적 혈액 점성 측정 방법 및 시스템 (Non-invasive Blood Viscosity Measurement Methods and Systems based on Oxygen Saturation and Blood Flow for Predicting Pawnuria and measuring Dehydration), KR 10-2022-0144937, 2022, PCT/KR2022/020071, 2022.
24. J.S. Lee, H.J. Lee, S.C. Ko, 인공지능 기반의 비침습적 요역동학 검사 방법 및 장치 (NONINVASIVE URODYNAMIC TES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 10-2022-0085583, 2022.
23. J.S. Lee, S.Y. Kim, H.G. Lee, 리튬이온전지의 덴드라이트 생성 예측방법 (Prediction method of dendrite generation in lithium ion battery), KR 10-2022-0063908, 2022, US 18/323,142, 2023.
22. J.S. Lee, J.H. Kim, J.E. Shin, J.H. Han, 딥러닝을 활용한 뇌 MRI 데이터로부터 뇌 영역 분할 시스템 및 그 방법 (Brain tissue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from the brain MRI data using deep-learning), KR 10-2022-0058276, 2022.
21. J.S. Lee, S.C. Ko, W. Li, 건물의 안전 판단 시스템 및 방법 (BUILDING SAFETY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KR 10-2022-0048024, 2022.
20. Y.J. Choi, H.D. Jeong, H.J. Cho, J.S. Lee, H.J. Lee, 구순 구개열의 개선 또는 치료용 자성 세포 및 이의 제조 방법 (Magnetic cells for improving or treating cleft lip and pal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 10-2022-0035910, 2022.
19. H.J. Cho, Y.J. Choi, H.D. Jeong, J.S. Lee, S.W. Jang, J.S. Nam, Y.W. Kim, 수면 무호흡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자성 세포 및 이의 제조 방법 (Magnetic cells for preventing or treating sleep apnea syndro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 10-2022-0035897, 2022.
18. J.S. Lee, Y.J. Choi, S. Ryu, J.H. Kim, 비강 형상 자동 분할 시스템 및 그 방법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sal cavity structure), KR 10-2022-0033826, 2022.
17. J.S. Lee, Y.W. Kim, H.J. Lee, 분획 혈류 예비력 기반 관상동맥 내 병변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최적화 시스템 및 그 최적화 방법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of AI algorithm for prediction coronary artery lesions based on FFR), KR 10-2022-0030019, 2022, US 17/820,819, 2022.
16. J.S. Lee, S.W. Kwon, J.H. Kim, 안면 비대칭성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Facial asymmetry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 10-2022-0028133, 2022.
15. J.S. Lee, J.H. Kim,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한 관상동맥 CT 이미지에서의 관상동맥 및 상행 대동맥 자동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of ascending aorta and coronary artery from CCTA using hybrid approach), KR 10-2022-0027282, 2022, CN 202210811389.2, 2022, US 17/820,514, 2022.
14. J.S. Lee, J.H. Kim, E.H. Hamze, 흉부 CT 이미지에서의 호흡기계 구조물 자동 분할 시스템 및 그 방법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piratory structure including lung lobe, trachea and bronchi from medical images), KR 10-2022-0027677, 2022.
13. J.S. Kim, S.G. Lee, J.S. Lee, 혈관 확장 유발을 위한 혈관 내 자성 물질 주입 방법 개발 및 이의 용도 (Method for injecting magnetic materials into blood vessel for vasodilation and use thereof), KR 10-2022-0020742, 2022, PCT/KR2022/003808, 2022.
12. J.S. Lee, Y.W. Kim, H.S. Jeong, S.I. Kang, J.S. Kim, H.J. Cho, Y.J. Choi, H.D. Jeong, S. Ryu, S.C. Ko, 유동관 형상 제어용 자성 세포, 이의 제조방법, 유동관 형상 제어 시스템 및 자성 세포를 이용한 인공지능 유동관 형상 제어계획 수립 시스템 (Magnetic cells for controlling the shape of pipe with fluid flow, a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system for controlling the shape of a pipe with fluid flow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lanning system), US 17/457,624, 2021, CN 202111479404X, 2021.
11. J.S. Lee, Y.W. Kim, J.H. Kim, 수면 무호흡증 인자를 고려한 심혈관 질환 위험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nalysis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sleep apnea factors), US 17/532,167, 2021.
10. B.S. Min, J.S. Lee, G.Y. Koo, J.H. Kim, AR 및 VR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비-대면 수술실 구현, 실시간 수술 참관 및 수술 교육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untact surgical room, real-time surgical observation and surgical training using an interaction between an Augmented Reality and a Virtual Reality), KR 10-2021-0091190, 2021.
9. Y.J. Choi, H.D. Jeong, H.J. Cho, J.S. Lee, H.J. Lee, 자성 세포의 적정 주입량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optimal injection volume of magnetic cells), KR 10-2021-0040095, 2021, PCT/KR2022/004052, 2022.
8. Y.J. Choi, H.D. Jeong, H.J. Cho, J.S. Lee, H.J. Lee, 구순 구개열의 개선 또는 치료용 자성 세포 및 이의 제조 방법 (Magnetic cells for improving or treating cleft lip and pal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 10-2021-0038051, 2021.
7. J.S. Kim, S.G. Lee, J.S. Lee, 혈관 확장 유발을 위한 혈관 내 자성 물질 주입 방법 개발 및 이의 용도 (Method for injecting magnetic materials into blood vessel for vasodilation and use thereof), KR 10-2021-0037535, 2021.
6. H.J. Cho, Y.J. Choi, H.D. Jeong, J.S. Lee, S.W. Jang, J.S. Nam, Y.W. Kim, 수면 무호흡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자성 세포 및 이의 제조 방법 (Magnetic cells for preventing or treating sleep apnea syndro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 10-2021-0037502, 2021.
5. J.S. Lee, Y.W. Kim, J.H. Kim,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심혈관 질환 진단을 위한 혈류 유동 분석 시뮬레이터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NALYSIS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SLEEP APNEA FACTORS), US 17/532,167, 2021.
4. J.S. Lee, Y.W. Kim, 혈관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Vascular Disease), US 16/925,010, 2020.
3. S.T. Kim, J.S. Lee, 니들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NEEDLE AND SYRINGE USING SAME), KR 10-2020-0159923, 2020, PCT/KR2021/016962, 2021.
2. J.S. Lee, Y.W. Kim, J.H. Kim,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서 STL 파일의 전처리 방법 및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 방법 (Pre-processing method of STL file in fluid analysis simulation and fluid analysis simulation method), KR 10-2020-0026359, 2020.
1. J.S. Lee, H.J. Cho, Y.J. Choi, H.D. Jeong, S. Ryu, 기계학습을 이용한 수면무호흡증 진단방법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diagnosis method using machine learning), US 16/933,915, 2020, PCT/KR2021/000592, 2021, DE 11 2021 000 583.9, 2022.